[전자신문]안영환 교수님/기후변화 맞설 탄소중립 시대 온다(2)빨라지는 친환경차 보급 인프라도 속도 낸다

Tags
2021/04/02
속성
친환경차
탄소중립
속성 1
정부, 2030년 전기·수소차 각각 누적 300만·85만대 보급 목표 친환경차 종류 다양해지고 보조금 더해 달성 가능성 높아져 전문가들 "충전인프라 중요"…필요한 곳 분석해 전략 배치
화석연료를 근간으로 작동되는 수송부문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13%를 차지한다. 2018년 기준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은 9810만톤으로 1990년 대비 약 2.7배 증가했다. 특히 도로 운송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이 항공철도 해운 등을 통틀어 97% 이상을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크다. 내연 기관차는 미세먼지 분야에서도 배출량의 13%를 차지할 정도다. 수도권 에서는 26%까지 차지한다. 이런 점에서 전기·수소차 보급은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잡는 가장 효율적 수단으로 꼽힌다. 정부는 탄소중립을 위해 최근 전기·수소차 인프라 확대에 나섰다.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자는 취지다.
◇친환경차 보급 2030년 33%로 정부는 2030년까지 누적으로 전기차 300만대, 수소차 85만대 보급 계획을 세웠다. 하이브리드차를 포함하면 그 비중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 같은 보급률이 현실화되면 2030년 도로에서 전기차는 24.4%, 수소차는 8.9%, 내연기관차는 66.9%까지 떨어질 수 있다. 2050년 탄소중립을 고려하면 그 수치는 기대치를 부합하기 어렵지만 10년 안에 산업을 바꾸는 구조인 만큼 달성조차 쉽지 않은 목표다. 다만, 최근 친환경차 보급 추세를 보면 이 같은 보급계획이 차츰 불가능한 목표가 아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등록된 차동차 2430만대 가운데 친환경차가 82만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기·하이브리드·수소차 등 유형별 친환경차 비중을 살펴보면, 전기차는 전년대비 50%, 하이브리드차는 33%, 수소차는 115% 증가했다. 전체적으로도 친환경차 비중은 3.4%로 전년 2.5% 대비 0.9% 증가했다. 전기차의 경우 유형별로는 승용차가 전년 대비 34%(2만9690대) 승합차가 122%(1009대), 화물차가 1254%(1140대) 각각 증가했다. 신규등록 자동차 191만대 가운데 22만대가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가 차지했다. 10대중 1대가 친환경차로 등록된 셈이다. 그야말로 친환경차 보급이 본격화됐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에서 친환경차 차종이 다양해지고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맞물리면서 환경문제에 동참하려는 욕구도 상승한 덕택”이라고 설명했다.
◇친환경차 보급 인프라 함께 해야 친환경차 보급 속도가 빨라졌지만 전문가들은 2050년 '탄소중립'을 지키기 위해서는 친환경차 보급과 함께 관련 충전 인프라 확보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안영환 숙명여대 교수는 2030년 정부가 제시한 목표대로 전기차 300만대, 수소차 85만대가 목표대로 이뤄질경우 2017년 도로운송 분야에서 발생했던 9800만톤 온실가스 가운데 1500만톤(24.4%) 감축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 교수는 해외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동향도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노르웨이가2025년, 네덜란드가 2030년, 영국이 2035년, 프랑스가 2040년 내연기관차 판매금지를 밝힌 바 있다. 그는 이어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차 보급 확산을 위해선 충전 편의성도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기차의 경우 완속과 급속충전기 등 보급이 크게 늘었지만 실제 필요한 곳에 추가로 설치돼야 한다는 것이다.실제 전기차 충전소는 지난해까지 6만4188기가 보급됐다. 전기차 보급댓수가 13만대인 것을 고려하면 2대당 1기가 보급된 셈이다. 보급댓수는 일본이나 EU, 미국보다 앞선 수치다. 하지만 전기차 소유자나 구매 희망자 여전히 전기차 충전이 쉽지 않다고 토로한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정부도 전기차 보급 추세, 접근성, 충전 행태를 분석해 국민이 필요한 곳에 전략적으로 배치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편리한 급속충전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분석으로 충전수요가 높은 버스·택시 차고지, 고속도로-국도 등 충전 수요 높은 곳에 급속 2800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주거지·직장 등 생활권을 중심으로 주차와 연계한 완속충전기를 설치하기로 했다. 정부는 수소차 보급이 늘면서 수소 충전소 보급에도 속도를 낸다. 수소충전소는 현재 80기가 구축중이다. 정부는 올해 180기까지 보급할 계획이다. 지난해 수소차 보급이 1년만에 곱절 가량 성장하면서 1만대를 돌파했고 올해는 2만6000대 보급을 목표로 세웠다. 이를 고려하면 자동차 보급에 비해 충전 인프라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다. 정부는 수소충전소 보급을 위해 단계별 밀착 지원으로 충전소 구축속도를 높이고 도시공원·그린벨트 등 입지규제 개선으로 민간 신규부지 발굴을 지원할 방침이다.
◇비도로 분야 탄소중립도 지원 필요 비도로 분야 역시 온실가스 필요성이 제기됐다. 박수한 전남대 교수는 도로 분야인 승용차와 상용차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이 이뤄진다지만 농기계와 건설기계 등에선 아직 부족하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건설기계와 농기계 등 비도로 부문은 좁은 지역에서 활동하며 더 많은 대기오염과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며 “ 기술지원이나 개발 인력공급으로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 운송분야는 시기별 거리별로 시나리오를 수립해야 한다고 했다. 단기적으로는 우리 기업이 경쟁력을 갖춘 내연기관에서 바이오연료 등으로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중장기적으로 전기·수소 보급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전기나 수소 등 친환경차 연료생산도 온실가스 감축을 감안하면 태양광·풍력·바이오 등 신재생에너지로 만들어져야 한다며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보다 촘촘한 시나리오를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표3】연도별 친환경자동차 등록현황 (단위 : 대) 【표5】연료 종류별 신규등록 현황 (단위: 대)
기타: 기타연료(LPG, CNG, LNG 알코올, 태양열)와 피견인 차량(트레일러 등)의 대수를 포함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원문보기